티스토리 뷰

목차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부산 시민이라면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동백패스'와 'K패스'를 많이 이용하실 텐데요.

    2024년 8월부터 시행된 'K패스동백' 통합 서비스는 두 제도의 장점을 결합하여 더욱 강력한 교통비 절감 효과를 제공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 동백패스와 K패스의 환급 비교와 상황별 유리한 혜택을 자세히 비교해 드리겠습니다.

     

     

     

    동백패스

     

     

    동백패스부산시가 도입한 지역화폐 연계 대중교통 환급 제도입니다.

    부산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 환급 기준 : 부산 지역 내 대중교통(시내버스, 마을버스, 도시철도, 경전철, 동해선 등 부산에 등록된 교통수단)을 월 4만 5천 원 이상 이용 시, 초과 금액에 대해 최대 4만 5천 원 한도 내에서 동백전(정책지원금)으로 환급해 줍니다.
    • 환급 방식 : 동백전 앱에 등록된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를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며, 환급금은 다음 달 15일경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지급됩니다.
    • 이용 제한 : 1인 1매 사용이 원칙이며, 2인 이상 승차 시에는 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환승 금액은 환급금 산정에 포함됩니다.
    • 발급 방법 : 부산은행 영업점 방문 또는 동백전 앱을 통해 동백전 후불교통카드(후불교통 기능 필수)를 발급받고, 동백전 앱에서 동백패스 서비스에 가입해야 합니다.

     

     

     

     

     

     

     

    K패스

     

     

    K패스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된 국토교통부의 전국 단위 대중교통비 환급 사업입니다.

    부산은 물론 서울, 경기 등 어느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에요.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 환급 기준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합니다.
    • 환급 상한 :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이 2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환급률을 계산합니다. (단, 경기·인천 등 일부 지자체는 해당 없음)
    • 환급 방식 : 후불형 카드의 경우 카드 결제 계좌로, 선불형 카드의 경우 앱 충전금으로 환급됩니다. 카드사별 입금일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 적용 교통수단 : 전국 시내버스, 마을버스, 도시철도, 광역버스, 신분당선, GTX 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에 적용됩니다. 타 지역 이용분도 환급 대상에 포함됩니다.
    • 발급 방법 : K-패스 제휴 카드사(신한, 우리, 하나,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 광주은행, 케이뱅크 등)에서 K-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받고, K-패스 앱 또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K패스동백' 서비스부산 시민이 두 제도의 혜택 중 더 유리한 것을 자동으로 적용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통합형 서비스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알아서 최적의 환급 혜택을 찾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좋습니다.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에 앞서, 먼저 적용 원리부터 알아야 합니다.

     

     

     

     

     

     

     

     

     

     

    ✅ K패스동백 적용 원리

     

     

    • 부산 시민은 먼저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를 발급받고 동백전 앱에서 동백패스 서비스에 가입
    • 이후, 발급받은 동백전 카드를 가지고 'K패스 앱/홈페이지 회원가입' 하여 해당 카드를 등록
    • 등록된 카드로 부산 지역 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시스템은 매월 이용 내역을 기반으로 자동 환급 비교
    • 두 가지 계산 결과 중 환급 금액이 더 큰 쪽으로 최종 환급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 환급액 시뮬레이션

     

     

    구분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 동백패스 예상 환급액 K패스 예상 환급액
    (일반, 20% 가정)
    K패스동백 최종 환급액 비고
    A 30,000원
    (15회 이상)
    0원 6,000원 6,000원 동백패스 최소
    이용액 미달
    B 50,000원
    (15회 이상)
    5,000원 10,000원 10,000원 K패스 혜택 큼
    C 70,000원
    (15회 이상)
    25,000원 14,000원 25,000원 동백패스 혜택 큼
    D 90,000원
    (15회 이상)
    45,000원 (최대) 18,000원 45,000원 동백패스 혜택 큼
    E 1500,000원
    (15회 이상)
    45,000원 (최대) 30,000원 45,000원 동백패스 혜택 큼

     

     

     

     

    • 청년 (30%)의 경우 : K-패스 환급액이 일반보다 더 커져, C, D, E 구간에서도 K-패스가 더 유리해지는 지점이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56,250원 미만 시 K-패스가 더 유리합니다.
    • 저소득층 (53%)의 경우 : K-패스 환급액이 훨씬 커져 대부분의 이용 금액에서 K-패스 혜택이 동백패스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64,285원 미만 시 K-패스가 유리합니다.
    • 다자녀 가구 (2명 30%, 3명 이상 50%) : 해당 환급률에 따라 K-패스 혜택이 유리해지는 지점이 달라집니다. 특히 다자녀 (3명 이상, 50%)의 경우 저소득층과 유사하게 대부분 K-패스 혜택이 더 크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동백패스 K패스 환급 비교

     

     

     

     

     

    ✅ K패스동백 환급 과정

     

     

    • 만약 동백패스 환급금이 더 많으면 동백전 정책 지원금으로 환급
    • K패스 환급금이 더 많으면 후불형 카드는 카드 결제 계좌로, 선불형 카드는 앱 충전금으로 환급

     

     

     

    K패스동백 이용 시 유의사항 및 팁

     

     

    • 반드시 K-패스 회원가입 :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를 발급받았더라도 K-패스 앱/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해당 카드를 등록해야만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소지 검증 필수 : K-패스 회원가입 시 주소지 검증을 통해 부산 시민임이 확인되어야 K-패스-동백 통합 혜택이 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 청소년 요금 등록 : 청소년의 경우 동백전 카드 발급 후 반드시 편의점이나 '이들 충전소' 앱 등에서 생년월일을 등록하여 청소년 요금으로 설정해야 환급 혜택이 적용됩니다.
    • 타 지역 교통수단 이용 : K-패스-동백 카드로 타지역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해당 이용금액은 동백패스 환급 계산에서는 제외되고 K-패스 환급 계산에만 반영됩니다.
    • 환급일 확인 : 동백패스 환급액은 동백전 앱에서, K-패스 환급액은 K-패스 앱 또는 카드사 내역에서 확인 가능하며, 환급일은 각각 다를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동백패스와  K패스 중 어느 것이 유리하고 좋을지 고민하지 말고, 위에 내용을 보시고 결정해 보세요.

    두 가지 모두 부산 시민에게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한 좋은 혜택이니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